생활정보

2017년도 건강보험요율!

방방아깨비 2017. 2. 18. 20:39

2015년에서 2016년으로 해가 바뀌며 건강보험요율이 0.05% 인상했었는데

 

기억이 나십니까?

 

나날이 비싸지는 건강보험요율을 보며 마음 아팠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제가 2017년도 건강보험요율을 정리해봤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2017년도는 2016년도와 동일한 건강보험요율을 적용합니다.

 

한마디로 인상되지 않았다는 말이지요.

 

 

 

 

그러면 2017년도 건강보험요율은 어떻게 될까요?

 

바로 월보수금액의 6.12%입니다.

 

그 중 아래와 같이 각자 부담하게 되는데요.

 

직장인 같은 근무자는 6.12%의 반인 3.06%를 부담하게 됩니다.

 

그리고 건강보험료에는 장기요양보험료가 추가되는데요.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의 6.55%입니다.

 

 

 

 

위에서 설명해드린대로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월급이 200만원인 근로자를 기준으로 계산해볼게요.

 

먼저 건강보험료는

 

200만원의 3.06%는 61,200원

 

그리고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 61,200원의 6.55%는 4,000원

 

위 두개를 더한 금액이 총 건강보험료 납부 금액입니다.

 

아래 계산식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거에요.

 

참고로 원단위는 절삭한답니다.

 

 

 

 

좀 더 쉽게 말씀드리면 월 보수금액의 3.26%가 건강보험료로 빠져나갑니다.

 

 

 

 

계산하기 복잡하다 싶으신 분들을 위해 4대 보험료 계산기 링크 주소를 남길게요.

 

http://www.nps.or.kr/jsppage/business/insure_cal.jsp

 

위의 링크 주소를 따라가시면 아래와 같은 계산기가 나오는데요.

 

상단 탭에서 국민건강보험 계산을 선택하시고 계산해주시면 됩니다.

 

다른 4대 보험료 계산도 가능하니 필요하신 분들은 해보세요.

 

 

 

 

2017년도 각종 노동관련 요율표가 있는데요.

 

아래에 파일로 업로드해드리니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받으세요.

 

2017년 각종 노동관련 요율표-4대보험외(요약).pdf

 

2017년노동관련 각종 요율표(4대보험외).pdf

 

 

막상 살펴보면 매우 간단하게 계산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회사 인사 회계 담당이 출산 휴가를 갔을 때,

 

처음으로 4대 보험료를 계산하고 납부해보았었는데요.

 

그때 참 어리버리했던 기억이 생생하네요.

 

 

 

 

2017년도 건강보험요율은 다행히 인상되지 않았습니다.

 

사실 이런 시국에 제 돈이 적게 빠져나가는 것이 기분이 좋죠.

 

국가나 기관이나 믿을만한 것이 하나도 없게 느껴지니까요.

 

그나마 인상되지 않은 건강보험요율을 보며 기분이 좋아졌으면 합니다.